맨위로가기

토요타 셀시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토요타 셀시오는 토요타 자동차가 1989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한 고급 대형 세단이다. 1989년 일본 시장에 출시되었으며, 렉서스 브랜드가 도입된 이후에는 렉서스 LS로 대체되었다. 1세대는 1989년부터 1994년까지, 2세대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3세대는 2000년부터 2006년까지 생산되었다. 각 세대별로 엔진, 디자인, 편의 사양 등이 개선되었으며, 3세대에는 렉서스 브랜드 도입으로 인해 단종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마쓰다 MX-5
    마쓰다 MX-5는 로터스 엘란에서 영감을 받은 디자인과 뛰어난 핸들링으로 인기를 얻은 마쓰다의 경량 2인승 로드스터로, 4세대에 걸쳐 진화하며 세계에서 가장 많이 팔린 2인승 스포츠카로 기네스북에 등재되었다.
  • 1989년 도입된 자동차 - 기아 캐피탈
    기아 캐피탈은 기아가 1989년 프라이드와 콩코드 사이의 차종 공백을 메우기 위해 콩코드의 차체를 기반으로 디자인을 차별화하여 개발한 승용차로, 대한민국 최초로 DOHC 엔진을 추가하기도 했으나 시대에 뒤쳐진 디자인과 경쟁력 약화로 1996년에 단종되었다.
  • 일본의 거품 경제 - 플라자 합의
    플라자 합의는 1985년 미국 등 5개국이 달러 가치 하락과 엔화, 마르크화 가치 상승에 합의하여 미국의 무역 적자 감소에 기여했으나 일본 경제에는 불황을 초래한 사건이다.
  • 일본의 거품 경제 - 버블 붕괴
    버블 붕괴는 1980년대 후반 일본의 자산 가격 거품 붕괴로 시작되어 주식 시장 폭락, 금융 시스템 위기를 초래하고, 일본 경제를 장기간의 침체에 빠뜨린 심각한 불황이다.
  • 토요타 자동차의 차종 - 토요타 RAV4
    토요타 RAV4는 1994년 첫 출시 이후 다섯 세대에 걸쳐 생산되고 있는 콤팩트 SUV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모델을 제공하며 가솔린, 디젤, 하이브리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등 다양한 파워트레인과 여러 차명으로 판매되고 일부는 테슬라 파워트레인을 탑재한 전기차 모델로도 출시되었다.
  • 토요타 자동차의 차종 - 토요타 코롤라
    토요타 코롤라는 1966년 출시 이후 변화를 거듭하며 세계적인 자동차로 자리매김한 토요타의 준중형차로, 다양한 파생 모델과 모터스포츠 활동을 통해 폭넓은 소비자층을 확보했다.
토요타 셀시오 - [자동차]에 관한 문서
자동차 기본 정보
3세대 후기형 토요타 셀시오
3세대 후기형
차명토요타 셀시오
판매 기간1989년-2006년
차체 형태4도어 세단
구동 방식후륜구동(프론트 엔진, 리어 드라이브 방식)
후계 차종렉서스 LS(4세대)
별칭렉서스 LS(1세대-3세대)
자동차 정보 (추가 정보)
제조사토요타 자동차
조립 장소일본 아이치현 다하라시
생산 년도1989년~2006년
차종대형차
차체 형식4도어 세단
구동 방식후륜구동
연료가솔린
관련 차량토요타 소어러
렉서스 SC
렉서스 LS
설계자우치다 쿠니히로 (1~2세대)
오오시마 마코토 (2~3세대)
나가야 아키히로 (3세대)

2. 1세대 (XF10, 1989년~1994년)

토요타 셀시오 정측면


1989년 10월 9일에 판매가 시작되었다. 타원형을 조합한 디자인의 토요타 CI 마크를 처음으로 장착한 모델이다.

신설계인 배기량 4,000 cc의 V형 8기통 엔진 (1UZ-FE)을 탑재했지만, 이는 같은 해 8월에 크라운의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추가된 4000 로열 살롱 G나 1992년에 출시된 초대 하이메딕에도 탑재되었다. 장비의 차이로 "A", "B", "C"의 3가지 사양이 존재하며, C 사양이 최상위 등급이다.

서스펜션은 전후 더블 위시본식으로, A 사양과 B 사양은 코일 서스펜션을 장착했다. 최하위의 A 사양은 오너 드라이버용 사양이었지만, 주력 판매 차종은 C 사양이며, 이는 중고차 시장에서도 변함이 없다. A, B, C라는 기본 등급 구성은 셀시오의 아이덴티티로서 3대까지 계승되었다. 차체에 부착되는 엠블럼에는 등급 표기가 되지 않으며("TOYOTA"의 사명 영문 표기 및 CI 마크 엠블럼과 차명 엠블럼만), 이는 기존 국산차와는 다른 점 중 하나이다.

일본차로는 처음으로 자가 발광식 미터를 채용했다.[1] 이후 자가 발광식 미터는 기존의 디지털 미터를 대신하여 고급차를 중심으로 많이 채용되었으며, 현재는 경차나 상용차까지 널리 보급되었다.[1] 메이커 옵션으로는 카오디오에 재생 전용 DAT 데크 (파이오니아제. 자동차 메이커용 순정품으로는 업계 최초이자 세계 최초)를 선택할 수도 있었다. DAT 데크는 미쓰비시 전기 등의 1DIN DAT 튜너가 아닌 2DIN DAT + 컴팩트 카세트 튜너였다.

1991년 1월에는 사이드 도어 빔(사이드 임팩트 바), 안전 벨트 경고를 전 차종에 기본 장착했다.

1992년 8월에는 마이너 체인지가 이루어져 후기 모델로 이행되었다. 외관의 큰 변화는 인치 업에 따른 알루미늄 휠 의장 변경과 리어 엠블럼류에서 "TOYOTA" 사명 영문 표기가 생략되고, CI 마크와 차명 2개만 남은 정도이다. 그 외에 후기부터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변경, 프론트 그릴 격자 모양 변경, 사이드 실 패널 형상 변경, 전후 범퍼 하단의 동일 색상 페인트화 등이 이루어졌다. 전기형에 채용되었던 열선 반사식 전면 유리가 경찰 당국의 지도로 인해 사라졌다.

1993년 8월 일부 개량. 전 차종 외판에 도막 내부 결합력을 강화하고 화학적 안정성을 향상시킨 신개발 도료를 채용했다.

1994년 9월[3]에 생산 종료. 재고 대응분만 판매된다.

1994년 10월에 2세대와 교체되는 형태로 판매 종료. 판매 종료 전월까지의 신차 등록 대수 누계는 11만 5444대[4]

2. 1. 개요



토요타 셀시오는 1989년 9월미국에서 런칭한 렉서스 브랜드의 대형 승용차 LS일본 내수 시장에 맞게 변경하여 같은 해 10월에 출시한 모델이다. 당시 일본의 거품 경제 상황과 닛산 시마의 인기로 인해 고급차 수요가 증가했고, 기존의 크라운에 만족하지 못하는 고객층을 위해 크라운센추리 사이에 위치하는 대형 승용차로 개발되었다.[1]

셀시오는 편의 사양에 따라 A, B, C 세 가지 타입으로 출시되었다. B 타입에는 노면 상태에 따라 서스펜션 감쇠력을 조절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피에조 TEMS)이, C 타입에는 승차감을 부드럽게 하는 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이 적용되었다. V8 4,000cc 1UZ-FE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가 탑재되었으며, 일본 자동차 최초로 자체 발광식 계기판이 적용되었다.[1] 또한, 토요타 자동차의 새로운 타원형 엠블럼이 처음 적용된 차종이기도 하다.

1992년 8월에는 16인치 알루미늄 휠, 브레이크 로터, 조수석 에어백, GPS 내비게이션 등이 적용되는 등 상품성이 개선되었다.

2005년부터 일본 내에서도 렉서스 브랜드가 전개되면서, 2006년 9월에 셀시오(3세대)의 후속 차종인 렉서스 LS(4세대)가 출시되었고, 셀시오라는 명칭은 사라지게 되었다.

2. 2. 특징

1989년 9월, 토요타 자동차는 고급 브랜드 렉서스미국에 런칭하고 LS를 판매했다. 일본에서는 크라운센추리 사이에 위치하는 대형 승용차로 10월에 셀시오를 출시했다. 셀시오는 편의 사양에 따라 A, B, C 세 가지 타입으로 나뉘었다.

타입특징
A 타입기본형
B 타입노면 상황에 따라 댐퍼 감쇠력이 조절되는 전자 제어 서스펜션인 피에조 TEMS 적용
C 타입승차감을 부드럽게 하는 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 적용



V8 4,000cc 1UZ-FE 엔진과 4단 자동변속기가 장착되었고, 일본 자동차 최초로 자체 발광식 계기판이 적용되었다.[1] 트림명 엠블럼 없이 토요타 자동차의 영문 엠블럼이 부착되었으며, 타원형의 새로운 토요타 자동차 엠블럼이 처음 적용되었다.

1992년 8월에는 16인치 알루미늄 휠, 브레이크 로터, 조수석 에어백, GPS 내비게이션에 대응하는 일렉트릭 멀티 비전 등이 적용되었다.

3. 2세대 (XF20, 1994년~2000년)

2세대 셀시오는 1994년 10월에 출시되었다. 1세대의 디자인을 답습하여 비슷한 느낌을 주었으나, 플랫폼을 개량하여 오버행과 최소 회전 반경을 줄이고 휠베이스를 연장했다. 1세대에서 불만이 많았던 브레이크 성능은 전륜에 알루미늄 재질의 대향 4 포드 캐리퍼를 적용하여 개선했다. 엔진은 V8 4,000cc 1UZ-FE 엔진을 장착했으나, 성능 향상과 경량화를 이루었다. 그러나 마이콘 프리셋 드라이빙 시스템이나 뒷좌석 접합 유리가 삭제되는 등 원가 절감의 영향도 있었다.

1996년 8월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프리셋 드라이빙 시스템을 다시 적용하고, 조수석 워크인 스위치를 추가했다. 충돌 안전 차체(GOA)를 적용하고 조수석 에어백을 기본 적용했다. 1997년 7월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쳐 라디에이터 그릴과 헤드 램프의 간격을 넓혔고, 헤드 램프는 오토 레베 라이저 내장 HID 램프로 변경했다. 6개의 에어백, 차체 자세 제어 장치, 브레이크 어시스트, 조수석 안전벨트 착용 경고등, 엔진 이모빌라이저(도난 방지) 등을 적용하여 안전성을 높였다.

1998년 8월 내비게이션을 CD에서 DVD 방식으로 변경하고, 우적 감지 와이퍼를 옵션으로 설정했다. 1999년 5월 6일에는 셀시오 발매 10주년 기념 특별 사양차 "10th Anniversary"를 발매했다. C 사양 및 B 사양 eR 버전을 기반으로 전용 모노톤 컬러, BBS 휠, 전용 색상 나무결 패널을 장착했다.

2000년 7월 생산 종료 후 2000년 8월에 3세대 모델로 교체되었다. 판매 종료 전월까지 신차 등록 누계는 14만 4315대이다.

토요타 셀시오(전기형) 정측면


토요타 셀시오(후기형) 정측면

3. 1. 개요

1994년 10월에 2세대 셀시오가 출시되었다. 1세대의 디자인을 유지하면서도 플랫폼을 개선하여, 오버행과 최소 회전 반경을 줄이고 휠 베이스를 늘려 실내 공간을 확보했다. 1세대에서 지적받았던 브레이크 성능은 전륜에 알루미늄 재질의 대향 4포트 캘리퍼를 적용하여 개선했다. 엔진은 V8 4,000cc 1UZ-FE 엔진을 그대로 사용했지만, 성능 향상과 경량화를 통해 효율성을 높였다. 다만, 마이콘 프리셋 드라이빙 시스템, 뒷좌석 접합 유리 삭제 등 원가 절감의 흔적도 보였다.

1996년 8월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프리셋 드라이빙 시스템을 다시 적용하고, 조수석 워크인 스위치를 추가했다. 또한, 충돌 안전 차체(GOA) 적용, 조수석 에어백 기본 장착 등 안전 사양을 강화했다. 1997년 7월에는 페이스 리프트를 통해 라디에이터 그릴과 헤드램프 간격을 넓히고, 헤드램프를 오토 레벨라이저 내장 HID 램프로 변경했다. 6개 에어백, 차체 자세 제어 장치(VSC), 브레이크 어시스트, 조수석 안전벨트 경고등, 엔진 이모빌라이저(도난 방지) 등 다양한 안전 및 편의 장비를 추가했다.

3. 2. 특징

1994년 10월에 출시된 2세대 셀시오는 1세대 디자인을 계승하면서도 플랫폼 개선을 통해 주행 성능과 편의성을 향상시켰다. 휠베이스를 늘려 뒷좌석 공간을 확보하고, 오버행과 최소 회전 반경을 줄여 운전 편의성을 높였다. 또한, 전륜에 알루미늄 재질의 대향 4 포드 캐리퍼를 적용하여 브레이크 성능을 개선했다.

엔진은 1세대와 동일한 V8 4,000cc 1UZ-FE 엔진을 탑재했지만, 성능 향상과 경량화를 통해 더욱 효율적인 주행을 가능하게 했다. 그러나 마이콘 프리셋 드라이빙 시스템, 뒷좌석 접합 유리 삭제 등 원가 절감의 흔적도 엿보인다.

1996년 8월에는 마이크로 컴퓨터 프리셋 드라이빙 시스템을 재적용하고 조수석 워크인 스위치를 추가했다. 또한, 충돌 안전 차체(GOA)를 적용하고 조수석 에어백을 기본 장착하여 안전성을 강화했다.

1997년 7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라디에이터 그릴과 헤드램프 디자인을 변경했고, 헤드램프는 오토 레벨라이저 내장 HID 램프로 업그레이드되었다. 6개의 에어백, 차체 자세 제어 장치(VSC), 브레이크 어시스트, 조수석 안전벨트 착용 경고등, 엔진 이모빌라이저 등 다양한 안전 및 편의 기능이 추가되었다.

3. 3. 1997년 페이스리프트

1997년 7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라디에이터 그릴과 헤드 램프의 간격이 생겼고, 헤드 램프는 기존의 할로겐 램프 대신 오토 레베 라이저 내장 HID 램프가 적용되었다. 6개의 에어백은 물론 차체 자세 제어 장치, 긴급 제동 조작을 보조하는 브레이크 어시스트, 조수석 시트 벨트 착용 경고등 등이 적용되어 안전성 향상에 도모하였다. 도난 방지를 위한 엔진 이모빌라이저가 기본 적용되었다.

4. 3세대 (XF30, 2000년~2006년)

2000년 8월에 출시된 3세대 셀시오는 V8 4,300cc 3UZ-FE 엔진으로 변경되었다.[8] 디자인은 곡선을 적극 사용하여 1세대와 2세대에 비해 역동적인 느낌을 주었으며, 공기 저항 계수(Cd) 0.25를 실현했다. 모든 도어에 이지 클로저가 장착되었고, 기존 무선 도어 잠금 장치에서 발전된 스마트 키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8] 2003년 8월에 페이스 리프트를 거치면서 차체 길이가 5,000mm를 넘었다.[11] 2005년부터 렉서스일본에서도 런칭됨에 따라 2006년 5월에 단종되었고, 일본에서도 해외와 동일하게 렉서스 LS로 판매되었다.[8] 토요타 자동차에서 셀시오의 지위는 크라운 마제스타가 계승하게 되었다.

2001년 8월 2일 일부 개량을 통해[9] 고막 등에 대한 부작용을 경감하는 듀얼 스테이지 에어백을 전 차량에 기본 장착했다. 9 스피커 오디오와 전동 리어 선셰이드의 기본 설정이 확대되었고, 새로운 바디 컬러가 추가되었다. 또한, 같은 날 특별 사양차 B사양 "PREMIUM"의 eR 버전과 C사양 "PREMIUM"이 설정되었다.[10]

2004년 2월에는 헤이세이 17년 기준 배출 가스 50% 저감 '신☆☆☆'을 전 차량으로 달성했다. 같은 해 7월에는 일부 개량을 통해[12] 배출 가스를 더욱 줄여 '헤이세이 17년도 기준 배출 가스 75% 저감 레벨'과 '헤이세이 22년도 연비 기준'을 달성했다.

셀시오의 판매 종료에 따라, "토요타" 브랜드의 퍼스널 카 플래그십 모델 지위는 마제스타가 이어받게 되었다.[8]

4. 1. 개요

토요타 셀시오(전기형) 정측면


토요타 셀시오(후기형) 후측면


토요타 셀시오는 1989년 토요타 자동차미국을 주요 시장으로 설립한 고급차 브랜드 렉서스의 최상급 모델인 렉서스 LS로 처음 출시되었다. 같은 해 10월, 일본 내수 시장에는 "셀시오"라는 이름으로 판매되기 시작했다.[1] 당시 토요타는 크라운이라는 고급 세단을 이미 보유하고 있었으나, 버블 경제 상황에서 닛산 시마가 큰 인기를 얻는 등 고급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크라운과 센추리 사이에 위치하는 새로운 차종으로 셀시오를 선보이게 되었다.[1]

2000년 8월에 출시된 3세대 셀시오는 V8 4,300cc 3UZ-FE 엔진을 장착했으며, 디자인에 곡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기 저항 계수(Cd) 0.25를 달성했다. 또한 이지 클로저, 스마트 키 시스템 등과 같은 첨단 기술도 적용되었다. 2003년 8월에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치면서 차체 길이가 5,000mm를 넘어서게 되었다.

2005년부터 렉서스 브랜드가 일본 내수 시장에도 정식으로 도입되면서, 2006년 5월 셀시오는 단종되고 그 자리를 렉서스 LS가 대신하게 되었다. 이후 셀시오의 포지션은 크라운 마제스타가 계승하였다.

4. 2. 특징

2000년 8월에 출시된 3세대 셀시오는 V8 4,300cc 3UZ-FE 엔진을 탑재하고, 곡선 디자인을 통해 공기 저항 계수(Cd) 0.25를 달성했다.[8] 이지 클로저와 스마트 키 시스템이 적용되었으며, 2003년 8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차체 길이가 5,000mm를 넘었다.

3세대 셀시오는 환경 성능에도 힘을 쏟아, 배출 가스 후처리에 세라믹 촉매를 사용하여 배출 가스를 줄였다.[8] 또한, 공력 면에서도 당시 시판차 중 세계 최고 수준의 항력 계수(Cd값) 0.25를 실현했다.[8]

내부 디자인은 고급 호텔 객실과 브리티시 항공, 일본항공의 퍼스트 클래스 좌석을 참고하여 고급스러움을 더했다. 북미의 마크 레빈슨 오디오 시스템이 옵션으로 제공되었다.[8]

2003년 마이너 체인지를 통해 헤드 램프, 보닛, 펜더, 트렁크 리드 등이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11]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 LED가 채용되었고, 자동변속기(AT)가 5단에서 6단으로 변경되어 연비가 향상되었다.[11] 안전 장비로는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사용한 프리 크래시 세이프티 시스템이 옵션으로 설정되었다.[11]

2005년부터 렉서스일본에서 런칭됨에 따라, 2006년 5월에 셀시오는 단종되고 렉서스 LS로 판매되기 시작했다.[8] 토요타 자동차에서 셀시오의 지위는 크라운 마제스타가 계승하였다.

4. 3. 2003년 페이스리프트

2003년 8월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차체 길이가 5,000mm를 넘어섰다.[11] 헤드 램프, 보닛, 펜더, 트렁크 리드 등이 모두 새로운 디자인으로 변경되었다.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에는 LED가 채용되었다. 또한, 자동변속기(AT)가 5단에서 6단으로 변경되어, 10・15 모드 연비가 8.2km/L에서 8.9km/L로 향상되었다.

이 페이스리프트를 기점으로 그레이드 구성과 패키지 옵션이 재검토되었다. 중간 그레이드였던 B사양과 A사양 및 B사양에 설정되었던 패키지 옵션 "eR 버전"은 폐지되었다. 대신 새로운 중간 그레이드 "eR 사양"이 추가되었다. 마이너 체인지 후 그레이드 구성은 A사양, eR 사양, C사양의 3가지였으며, C사양에는 "F 패키지", "인테리어 셀렉션", "F 패키지 인테리어 셀렉션" 패키지 옵션이 계속 설정되었다.

안전 장비로는 밀리미터파 레이더를 사용한 프리 크래시 세이프티 시스템이 옵션으로 설정되었고, 전자 멀티 비전 장착 차량에는 광 비콘 VICS와 백 카메라가 기본 장착되었다. 알루미늄 휠 크기도 변경되어, A, C사양은 17인치 55 편평 타이어, eR 사양은 18인치 45 편평 타이어가 장착되었다.

5. 렉서스 브랜드 도입 및 단종 (2005년~2006년)

2003년 2월, 토요타 자동차2005년부터 일본 내에서도 렉서스 브랜드를 전개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셀시오"라는 이름은 폐지되고, 후속 모델은 일본 내에서도 "렉서스 LS"로 렉서스점에서 판매될 예정이었다. 2006년 5월, 셀시오는 약 17년간의 역사를 마감하고 판매가 종료되었다.[13] 다만, 제조는 2006년 6월 30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오사카 토요펫트(구)를 비롯한 일부 판매 회사는 최종 재고를 매점하고 있었다. 이로 인해 신차 등록이 2006년 8월에서 11월 사이에 이루어진 희소한 차량도 존재하며, 후속 모델인 XF40계 LS가 출시(2006년 9월 19일)된 직후에도 셀시오의 신차 등록이 약간 이루어졌다.[13] 토요타 자동차에서 셀시오의 지위는 크라운 마제스타가 계승하게 되었다.[1]

6. 차명의 유래

'CELSIOR'라는 차명은 라틴어로 "지상, 최고"를 의미하는 celsus(켈수스)의 비교급 celsior(켈시올)을 영어식으로 읽은 것이다.

한편, 토요타 홈(전개 당시에는 토요타 자동차의 주택 부문이었다)은 한때 "셀시오"라는 이름을 사용한 고급 분양 아파트를 취급한 적이 있었다.

참조

[1] 서적 昭和55年 写真生活 ダイアプレス 2017
[2] 웹사이트 【ものづくりに魅せられて52年(上)】「勉強が苦手でトヨタ養成校に一か八かで受験。技を盗んで仕事を覚えた」トヨタ初の技能出身役員・河合満氏に聞く https://www.sankei.c[...] 2015-04-23
[3] 웹사이트 セルシオ(トヨタ)1989年10月~1994年9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3
[4]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
[5] 간행물 トヨタ、セルシオ10周年を記念し特別仕様車を発売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1999-04-01
[6] 웹사이트 セルシオ(トヨタ)1994年10月~2000年7月生産モデルのカタログ https://www.carsenso[...] リクルート株式会社 2020-01-13
[7]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
[8] 간행물 トヨタ、セルシオをフルモデルチェンジ-最高級車の新たな頂点のあり方を提案-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00-08-31
[9] 뉴스 トヨタ、「セルシオ」を一部改良 https://www.webcg.ne[...] 2001-08-08
[10] 뉴스 トヨタ『セルシオ』安全改良!! 65万円高の特別仕様も https://response.jp/[...] 2001-08-02
[11] 간행물 トヨタ、セルシオをマイナーチェンジ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03-08-04
[12] 간행물 トヨタ、セルシオを一部改良 https://global.toyot[...]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2004-07-27
[13] 간행물 デアゴスティーニジャパン週刊日本の名車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